티스토리 뷰
목차
혹시 ‘우리 가족이 정부지원 대상일까?’ 고민해보신 적 있으신가요?
정부의 각종 지원 제도는 대부분 **‘중위소득 기준’**을 따릅니다. 내가 받을 수 있는 혜택이 있는지 확인하려면, 가구원 수에 따른 2025년 중위소득을 정확히 아는 것이 가장 먼저입니다.
이 글에서는 2025년 중위소득 기준표와 함께 복지 혜택 수급 자격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기준까지 상세히 알려드릴게요.
중위소득이란?
중위소득이란, 전체 가구를 소득 순으로 줄 세웠을 때 정중앙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.
2025년 정부지원 제도들은 이 중위소득의 일정 비율(40%, 50%, 60%, 100%, 120% 등)을 기준으로 수급 대상 여부를 판단합니다.
즉, 중위소득 기준표는 각종 복지 정책의 문을 여는 ‘기준 잣대’입니다.
2025년 중위소득 기준표 (가구원 수별 정리)
가구원 수 | 60% 기준 | 70% 기준 | 100% 기준 | 120% 기준 |
1인 가구 | 1,435,208원 | 1,674,409원 | 2,392,013원 | 2,870,416원 |
2인 가구 | 2,359,595원 | 2,752,861원 | 3,932,658원 | 4,719,190원 |
3인 가구 | 3,015,212원 | 3,517,747원 | 5,025,353원 | 6,030,424원 |
4인 가구 | 3,658,664원 | 4,268,441원 | 6,097,773원 | 7,317,328원 |
5인 가구 | 4,264,915원 | 4,975,734원 | 7,108,192원 | 8,529,830원 |
6인 가구 | 4,838,883원 | 5,645,364원 | 8,064,805원 | 9,677,766원 |
※ 출처: 보건복지부 고시, 2025년 기준
왜 중위소득 기준이 중요한가요?
2025년에도 정부의 주요 복지 제도는 중위소득 기준에 따라 자격이 달라집니다.
아래는 대표적인 정부지원 혜택들입니다:
- 기초생활보장제도
생계급여: 중위소득 30% 이하
의료급여: 중위소득 40% 이하
주거급여: 중위소득 47% 이하
교육급여: 중위소득 50% 이하
- 청년 월세지원 사업
중위소득 100% 이하 청년에게 월세 최대 20만원 지급
- 한부모가족 지원금
중위소득 60% 이하이면 양육비·교육비 지원 가능
- 차상위계층 인정 기준
중위소득 50~60% 구간에 포함되면 차상위계층으로 인정
- 에너지 바우처, 긴급복지, 의료비 지원 등
대부분 중위소득 60% 이하 또는 75% 이하를 기준으로 판단
]내가 받을 수 있는 정부지원금, 어떻게 확인하나요?
중위소득 기준표만 알면 다음의 순서로 정부지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가구원 수 확인
주민등록상 세대 구성원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. - 가구의 월 소득 파악
근로소득, 사업소득, 연금소득 등 포함 - 소득인정액 계산
실제 수입 외에 재산의 소득환산액도 포함됩니다.
(보건복지부 복지멤버십 자동 계산 시스템 활용 가능) - 중위소득 몇 %에 해당하는지 비교
2025년 기준표에 따라 내가 속하는 퍼센트를 확인합니다. - 대상 복지제도 신청 여부 검토
해당 구간에 해당하면 지자체나 복지로 포털에서 신청 가능합니다.
2025년 중위소득 기준표 활용 팁
- 정부지원금 미리 대비하기
월소득이 60% 이하면 생계, 의료, 주거급여까지 받을 수 있으니 소득 증명 자료를 미리 준비해두세요. - 지자체 복지서비스도 중위소득 기준 사용
경로당 냉방비 지원, 출산축하금, 저소득층 체험활동 등도 대부분 중위소득 기준 적용 - 중위소득 변동성 고려
매년 중위소득은 달라지기 때문에, 2024년 기준이 아닌 2025년 최신표로 판단해야 합니다.
마무리: 지금 당장 중위소득 기준표를 확인하세요
중위소득 기준표는 단순한 숫자가 아닙니다.
그 안에는 수백만 원의 복지 혜택, 놓칠 수 없는 지원금, 나와 가족의 생활 안정을 위한 수많은 기회가 담겨 있습니다.
지금 바로 가구원 수에 따른 내 소득이 중위소득 몇 %인지 확인해보세요.
정부지원금은 선착순, 또는 지자체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될 수 있으므로 미리 확인하고 준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